진양진주정씨은열공파대종회

  • 방문자수 |   오늘39   어제187  최대328  전체 13,183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대종회소개
    • 회장 인사말
    • 역대 회장
    • 임원명단
    • 중·소문중 대표자
    • 종 기
    • 종 훈
    • 청계서원가
    • 종 헌
    • 연 혁
    • 홈페이지 관리규약
    • 찾아오시는 길
  • 뿌리탐구
    • 진양정씨 유래
    • 시 조
    • 은열공(경덕사)
    • 숭은사 배향 선조
    • 향사일정
    • 항렬표
    • 분파계보도
    • 유물 및 사적
    • 청계서원
    • 족보간행내역
  • 인터넷족보
    • 인터넷족보 열람
    • 족보편찬 안내문
    • 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등재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
    • 협찬하신분
    • 족보편찬 소식
  • 대종회자료실
    • 종 보
    • 문 집
    • 기타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 대조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 차리는법
    • 지방 작성법
  • 열린마당
    • 공지사항
    • 대종회소식
    • 지파문중소식
    • 일가동정
    • 사진갤러리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뿌리탐구

  • 진양정씨 유래
  • 시 조
  • 은열공(경덕사)
  • 숭은사 배향 선조
  • 향사일정
  • 항렬표
  • 분파도
  • 유물 및 사적
  • 청계서원
  • 족보간행내역

숭은사 배향 선조

  • 홈
  • 뿌리탐구
  • 숭은사 배향 선조

숭은사 배향 선조

클릭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文忠公 (문충공)

龍崗公 (용강공)

文靖公 (문정공)

三溪公 (삼계공)

南溪公 (남계공)

慕軒公 (모헌공)

龜溪公 (구계공)

八松公 (팔송공)

 

 

 

4) 三溪公(삼계공)

 

世代

휘 (諱)

號 (호)

生

卒

관 직

11세

밀(密) 숙성(叔成) - 字

삼계(三溪)

1520년 庚辰年

1582년 壬午年

∙종부시첨정

∙시강원 문학

∙사헌부지평

 

경·전에 밝고 식견이 고명하여 몸가짐이 신중하고 절도가 있어 법도에 어긋남이 없었다. 맹자의 성선설과 주자의 「성인을 희망한다 12) .」는 교훈을 볼 때마다 「대장부가 세상에 태어나 일등 가는 사업이 있는데 어찌 다른 것을 구하겠는가?」라고 하였다. 회재 이언적 선생이 「정아무개는 참으로 아름다운 선비다. 뜻을 가짐이 원대하므로 그 진취성을 헤아릴 수가 없다.」하였으며, 臨終(임종)때 문인과 제자들에게 「내가 보기로는 세상 사람들이 그 祖先의 遺稿(유고)를 가지고 망령되게 없는 사실을 더 보태 가면서, 심지어는 유별난 사람으로 만들기까지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귀신을 속일 수가 있으며 백세를 속일 수가 있단 말인가, 이는 선대를 욕되게 하며 불효 중 큰 불효다」 하고선 저술과 시문을 모두 불태웠다.

周易(주역)의 「너무도 확고하여 뽑을 수가 없다」13) 라는 말에 비유되는 강건함을 보였다.

 

계묘년(1543년) 진사시 문과에 급제, 종부시첨정, 시강원 문학, 사헌부지평(정5품)등을 지내시고, 외직으로는 익산, 단양, 밀양, 안악 네 고을의 원을 지내셨다. 덕계 오건, 송와 강현 제현(諸賢) 등과 교유, 淸白吏(청백리)로 전해진다.

 

진양지에 「… 천성이 정성스럽고 곧으며 벼슬에 나아가서는 맑고 조심스러워서 관원이 두려워하고 백성들이 그리워하였으며, 공적이 두드려져서 세 고을을 역임하였으되 추워도 앉을 방석이 없었다. 어긋나게 시류에 따르는 무리를 보면 지위가 있어도 덕을 칭찬하지 아니하였다.…」라고 기록 14)

 

bg_09.png 기록 및 유적

구 분

제 목

찬 (撰)

소 재 지

비고

記

三溪亭記

巴山 趙昺奎

문헌록

 

三溪精舍 重建記

晉山 河謙鎭

 

 

三溪精舍院韻竝書

 

 

 

碑

朝鮮 淸白吏 三溪先生 碑

현감 이종상

진주시 진성면

 

三溪先生 密 行績碑

 

진주시 진성면

 

遺 物

분재기15)

삼계 정밀

중앙학연구원 장서각

 

 

밀 (密)

 

진경(晉卿)

bg_08.png

임덕(任德)

bg_08.png

유 (愈)

bg_08.png

천익(天益

bg_08.png

 

 

 

 

 

손 (愻)

 

 

 

 

 

 

 

 

근 (懃)

 

 

 

 

 

 

 

 

 

 

 

 

bg_08.png

길봉(吉逢)

bg_08.png

양 (陽)

bg_08.png

순 (淳)

bg_08.png

지선(止善)

 

 

길보(吉輔)

 

 

 

황 (潢)

 

지수(止守)

bg_08.png

 

능록(能祿)

 

 

 

택 (澤)

 

지기(止器)

 

 

文益漸(女)

 

 

 

 

 

 

 

 

 

 

 

 

 

 

 

 

bg_08.png

이신(以信)

bg_08.png

석좌(碩佐)

 

 

 

 

 

 

 

 

석우(碩佑)

 

 

 

 

 

 

 

 

석찬(碩贊)

bg_08.png

관 (寬)

 

 

 

 

 

 

 

 

유 (宥)

 

 

 

 

 

 

 

 

밀 (密)

bg_08.png

승업(承業)

 

 

 

 

 

 

안 (安)

 

승훈(承勳)

 

 

 

 

 

 

 

 

 

 

 

 

 

13)初九曰 潛龍勿用은 何謂也오. / 子曰 龍德而隱者也니 不易乎世하며 不成乎名하야 遯世悶하며 不見是而无悶하야 樂則行之하고 憂則違之하야 確乎其不可拔이 潛龍也라. 초구에 말하길 '潛龍勿用'은 어찌 이름인고? 공자 말씀하시되 "용의 덕이 숨어 있는 것이니, 세상을 바꾸지 아니하며, 이름을 이루지 아니하여, 세상을 피해 살아도 민망하지 아니하며, 옳음을 알아주지 않아도 민망함이 없어서, 즐거우면 행하고, 근심하면 어겨서, 확고하여 그 가히 뽑을 수 없는 것이 潛龍이라."

14) 鄭密字叔成訓導寬之弟嘉靖癸卯中進士戊午文科天性簡拙莅官淸謹吏畏民懷政績最著歷典三郡寒無坐氈見忤時輩位不稱德官止 宗簿寺僉正號三溪居上寺里 (진양지 제3권 / 인물 / 본조) / 세 고을은 네 고을의 오기인 듯[편집자]

15) 1578년 승업, 승훈 형제에게 삼계공이 재산을 분급해 주는 문서이다. 제사를 받드는 몫을 제외하고는 형제에게 재산을 거의 고루 분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임진왜란 이전의 분재기로써 사료적 가치가 대단히 크다.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8(남성동 청계서원)
전 화 : 055-745-4514
Copyright ©2025 진양(진주)정씨은열공파대종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