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서원
1833년(순조 33년)에 영·호남 유림들이 우리나라에 목면(木綿, 목화) 씨앗을 처음으로 심어 오직 한 포기를 살려서 3년간 가꾸어 크게 성공을 거두어 백성에게도 목화를 심도록 보급·권장하였으며 「씨아」와 「물레」를 창제하고 「베틀」을 제작 보급 시켜 백성들에게 따뜻한 의복을 입도록 하여 큰 은혜를 베푸신 문충공 정천익(文忠公 鄭天益)선생을 배향하여 공의 큰 은덕에 보은의 제사를 올리기 위하여, 진주시 대평면 마동(현, 진주시 대평면 내촌리) 남강변 언덕에 사당을 짓고 서원을 열어 유림봉사(儒林奉祀)한 곳이며 학생들에게 충효와 애민사상을 강론 교육하였던 곳이다.
1839년(헌조 5년)에 예조(禮曹)에서 조령(曹令)으로 지방관인 관찰사가 헌관(獻官)으로 향례를 주관하여 봄과 가을에 제향을 올려 공의 위대한 업적을 공경하였으며,
1858년(철종 9년)에는 고려 현종 때 병부상서로 거란의 침입을 물리쳐 나라를 구한 은열공(殷烈公) 정신열(鄭臣烈)선생과 후손 삼계공 휘 밀(密)·남계공 휘 승윤(承尹)선조을 배향하여 해마다 정성을 다하여 제사 지내며 선현의 올바른 정신과 업적을 흠모하였다.
1867년(고종 4년)에는 모헌공 휘 이심 선생과 진양 하씨 문중의 송강 하항·모송재 하인상선생을 추향하여 일곱 분을 모신 서원이었으나,
1868년 전국의 서원을 철폐하라는 국령(國令)으로 청계서원은 훼철(毁撤 )되었다.
1954년부터 서원을 복원하기 위하여 공론을 시작하여 1961년에 후손들이 유림들과 의논하여 진양성지에 있는 정씨세거지에 서원을 다시 짓기로 결의하여 종인들로 부터 헌성금을 각 출하고 당시 「문교부 장관의 허가」를 얻어 1963년에 건축물을 준공하게 되니 경덕사·정교당·창제문을 「봉남서당(鳳南書堂)」이라 이름하여 청계서원의 맥(脈)을 이었다.
1976년 4월 25일 박정희 대통령께서 문충공 휘 천익 선조의 위대한 업적을 흠모하여 친필로 流芳百世(유방백세)의 휘호를 우리 문중에 하사하였다.
1987년부터 정부에서 추진하는 「진주성 복원 정화사업」으로 봉남서당이 진주성지에서 이전의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진양 정씨가 진주의 훌륭한 가문이며 문충공 휘 천익선생의 위대한 업적을 감안한 정부의 배려로 진주성지에 존치하게 되었으며, 정부의 보조금과 후손들의 노력으로 경덕사와 정교당을 고쳐 짓고 숭은사와 전사청을 신축하고, 은열공 묘정비와 문충공 사적비를 서당의 뜰에 세워 봉남서당을 새롭게 단장 하였다.
1993년 4월 6일에 중수한 건축물의 준공식을 갖고 서원 훼철 이후 126년 동안 제례를 올리지 못한 문충공·용강공·삼계공·남계공·모헌공·구계공·팔송공 선조님에게 숭은사에서 올리게 되었으며, (2022년 문정공 휘 계도선조 추향) 1994년 5월 22일에 진양성에서 30년 동안 봉남서당으로 이름 지어 은열공의 정신을 이어왔던 현판을 많은 종인들의 아쉬움을 남겨둔 채 내리고, 청계서원으로 개칭하여 옛 서원의 건축물로 복원하였다.
매년 음력 3월 15일에 선조를 사모하는 전국의 후손들이 청계서원의 경덕사와 숭은사에 춘향제를 지내고 있다.
창제문(蹌濟門)
서원의 출입문으로 외삼문이다.
시경의 대아편에서 「제제창창(濟濟蹌蹌)」를 인용하여 '몸가짐이 위엄이 있고 위풍을 떨치며 질서가 정연함'을 뜻한다.
경덕사(景德祠)
금자광록대부 병부상서 진양부원군 관정 정신열 선생을 모신 사당이다. 선생은 진양정씨 은열공파의 파조이시다.
은열공묘정비(殷烈公廟庭碑)
휘 신열선생의 학덕과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공을 기록한 비명이다. 성산 이헌주선생이 원문을 쓰시고 김상조 선생께서 번역을 하였다.
숭은사(崇恩祠)
문충공 휘 천익선생을 주벽으로 학덕이 높으신 선현으로 용강공 휘 충좌·문정공 휘 계도·삼계공 휘 밀·남계공 휘 승윤·모헌공 휘 이심·구계공 휘 인상·팔송공 휘 필달선생을 모신 사당이다.
문충공사적비(文忠公事蹟碑)
한 알의 목면 씨앗을 싹 튀워 전국에 보급시키고 씨아와 물레를 창제한 문충공의 공적을 기록하고 있다. 비의 앞 면에는 「선생의 위대한 업적이 후세에 오랫동안 전하라」는 뜻으로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로 쓰신 유방백세(流芳百世)를 새겼다.
정교당(正敎堂)
학생들에게 충·효·예절을 가르치는 공간이다
전사청(典祀廳)
향례를 준비하고 제례 물품을 보관하는 곳이다.
진양부원군 금자광록대부 병부상서
은열공 관정 휘 신열선생
경덕사에 모신 은열공 관정 휘 신열 선조님은 진양정씨 은열공파의 득관 파조이시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품성이 뛰어났고, 어버이 섬김에 어긋남이 없어 효자로 이름이 높았으며 자라선 예리한 뜻으로 독실이 공부하여, 그 시대에 고려의 풍속이 불교를 숭상하였는데 배척하고 성리학을 공부하여 유교의 으뜸이 되었다.
고려 8대 현종(1010년∼1031년)조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관직에 올랐으며, 문무를 겸비한 탁월한 능력이 있어, 병부상서를 제수받아 거란의 침범을 크게 물리친 공로로 금자광록대부의 품계를 받으신 분이다.
선생은 불교를 멀리하고 유도(儒道)를 행할 것을 여러 번 현종께 아뢰었으나 현종이 끝내 듣지 아니하자 선생은 뜻 한 바를 이루지 못하여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니 조정에서는 선생이 대훈(大勳)의 공로가 있는데도 갑자기 사퇴함으로 정자를 지어내렸다. 당시 사람들이 그 정자를 관정(官亭)이라 이르고 세상에서 관정선생이라 일컬은 것도 이 때문이다. 산청군 단성면 관정마을의 지명은 은열공 선조의 아호(雅號)에서 비롯되어 지금까지 전해온다.
선생이 돌아가시자 조정에서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으로 추증하였으며, 은열(殷烈)의 시호(諡號)를 내렸다.
서원(書院)
서원은 조선 중기부터 민간에 보급되었던 선비들의 사학 기관이다. 중기 이후에 성현들에게 제사 지내고, 인재를 키우기 위해 세웠다. 성현들에게 제사 지내는 사당과 청소년들을 교육하는 서재를 아울러 갖추었다.
진양군 중정대부 사재령·전객령 치사
문충공 퇴헌 휘 천익선생
공은 숭은사 주벽으로 영정과 위패를 함께 모시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위인이시다. 선생은 어릴 적부터 학문에 깊이가 있고, 문장이 깨끗하고 아름다워 그 시대에 유학의 으뜸이 되었다. 선생은 고려 31대 공민왕조에 중정대부 전객령과 사재령을 지내시고 치사(致仕)하여 고향으로 돌아와 작은 집을 짓고 퇴헌이라 스스로 호를 지었으며 글을 읽고 유학을 강론하였다.
사위 충선공 문익점 (1329년~1398년)선생이 원나라에 사신(서장관)으로 갔다가 목면 종자를 가지고 왔으나, 지리적 요인·기후 등이 맞지 않아 어려운 생육 환경에서도 공의 정성과 노력으로 오로지 1개를 싹틔웠으며, 이로 인하여 3년 만에 온 나라에 대량으로 번식하여 보급 시키고 또한 목화에서 씨를 뽑고 천을 만들기 위한 「씨아」와 「물레」를 창제하였다. [고려사·조선왕조실록 태조조에 기록]
선생의 노력과 정성으로 전국에 보급된 목면은 조선 초기 우리나라 농가 경제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 하였고, 의생활을 비롯해서 생활문화의 질을 크게 향상시켰다. 우리나라에서 목면재배의 성공은 유럽의 산업혁명과 버금가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비견될 것이다선생이 돌아가신 뒤 태종 때 공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여 진양군(晉陽君)으로 추봉하였으며, 시호를 문충(文忠)이라 하였다.
국가사적 108호 「목면시배유지」가 있는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 신도비와 설단이 있어 음력 10월 9일에 시제를 모신다.
… 중국에는 수많은 영웅이 있었으나 사람들은 그 누구보다도 신농씨와 후직씨를 귀하게 여기면서 받들고 있소이다. 농사짓는 법과 옷감 짜는 법을 알려 준 것이야 말로 최고 중 최고의 업적이란 뜻이지요. … (본문 148p) [문익점과 정천익, 고진숙, 푸른숲 주니어, 2010.]
|
숭은사에 모신 선현
선 조 |
생 (生) 졸 (卒) |
품계 · 관직 |
비 고 |
||
휘(諱) |
자(字) |
호(號) |
|||
천익 (天益) |
|
·퇴헌(退軒) ·문충(文忠) |
|
·진양군(晉陽君) ·중정대부 사재령·전객령 치사(致仕) |
·목면재배 성공 ·씨아,물레 창제 |
충좌 (忠佐) |
|
용강 (龍崗) |
|
·중훈대부 용강현령 |
·효행(孝行) |
계도 (啓道) |
의행 (義行) |
·충은(忠隱) ·문정(文靖) |
1367년 1420년 |
·사간원 대사간 ·증 숭정대부 예의참판 |
·충신(忠臣) |
밀(密) |
숙성 (叔成) |
삼계 (三溪) |
1520년 1582년 |
·종부시 첨정 ·시강원 문학 ·사헌부 지평 |
·청백리 |
승윤 (承尹) |
임중 (任仲) |
남계 (南溪) |
1541년 1610년 |
·진사 |
·임란시 창의 ·김시민장군 업적 상소 |
이심 (以諶) |
신화 (愼和) |
모헌 (慕軒) |
1590년 1656년 |
·문인(門人) |
·효자 |
인상 (麟祥) |
백 (仁伯) |
구계 (龜溪) |
1554년 1635년 |
·증 가선대부 ·남명문인 |
·남명문인 |
필달 (必達) |
가행(可行) 사겸(士兼) |
팔송 (八松) |
1611년 1693년 |
·전적, 형조정랑, 사예 ·예조 정랑, 봉상시첨정 ·단양군수 ·울진현감 |
·과거폐단 상소 |
청계서원팜플렛.pdf 보기 ▲ |